1. PK 추가 쿼리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nstraint PK이름 PRIMARY KEY (필드들) 2. PK 제거 쿼리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nstraint PK이름 3. 테이블에 있는 PK 찾아서 삭제하는 쿼리..declare @keyname varchar(30), @query varchar(200)select @keyname=name from toa_ing..sysobjects where xtype= 'PK' and parent_obj=(select id from toa_ing..sysobjects where name = '테이블명')select @keynameset @query =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nstraint '+@keyname..
MSSQL 서버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비단 MSSQL 뿐만 아니라 다른 DBMS에서도 사용 가능한 중복 데이터를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UserName Password ------------------------- GIL01 111111111 GIL01 222222222 GIL02 333333333 GIL02 444444444 GIL03 000000000 GIL04 555555555 이런 데이터가 있다. UserName이 중복된 것들이 있다. GIL01, 02 가 중복되었다. 여기서 UserName이 중복된 것만 뽑아내려고 한다. select UserName from [테이블] group by UserName having count(*) > 1 간단하면서 다른..
어느 방향을 선택할 것인가? - 500만 : trend - 1000만 : culture - 2000만 : 안끼면 소외된다 소셜네트워크가 IT와 만나고 다시 스마트폰을 만나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런 방향을 지원하기 위하여 많은 OSS(Open Source Software)가 나왔고, HTTP 통신(Stateless)을 통하여 유입되는 어마어마한 사용자를 수용하기(규모의 확장) 위하여 사람들의 생각을 저장하고 활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다. 사람의 생각을 Key=Value로 많은 데이터를(BigData)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상은 예전의 Client-Server 사상이 아닌 HTTP Web상의 통합과 유입을 처리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SND(Socia..
인터넷 대중화에 이어 수년 전부터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컴퓨팅 시스템에도 변화가 찾아오기 시작했다. NoSQL의 등장 배경 예전에 컴퓨팅 시스템은 기업 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래서 기업의 복잡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분석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었다. 기업의 업무 시스템은 해당 기업의 생산과 판매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고 거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양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SNS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고객이 아닌 전 세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형태의 서비스로 발전되었고 이는 기존의 기업 시스템에서 볼 수 없었던 대규모 데이터를 생산해냈다. 또한 이 데이터들은 ..
프로그램 개발을 하다가 보면 base64, 카멜기법, 쿼리 정렬등을 할 때가 있다. 프로젝트에는 필요하지 않으면 없으면 불편하고 내가 만들면 귀찮고, 프로그램으로 설치할려고 하니 나중에 딱히 쓰일 일이 거의 없을 것 같고 참 별 것 아닌데 귀찮은 것들이 있다. 아래에 소개되는 사이트들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별 다른 사용법을 소개할 필요가 없어 보인다. 이미 있는 사이트들을 이용해서 더 높은 퀄리티와 보다 높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1. 카멜 표기법(http://lab.gizrak.com/tools/table_col_gen.html) 2. 쿼리 정렬(http://www.dpriver.com/pp/sqlformat.htm) 3. base64 encoding, decoding(..
도쿄 대학에서 발명된 이 가위 바위 보 로봇은 인간을 상대로 100%의 승률을 장담한다. BBC에 따르면 인간이 낼 것을 인식하여 로봇은 고속의 계산과 함께 빠른 반응을 보인다. 인간이 만들려고하는 손 모양을 1/1000초 이내에 인식하고 손 모양을 만들고 인간이 행동을 마치기 전에 모든 행동을 끝낸다.결국 로봇은 사람의 손모양을 보고 로봇이 내는건데 이렇게 되면 결국 항상 사람보다 늦게 낸다는 얘기네.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연속해서 하는걸 봐도 로봇은 사람보다 항상 조금씩 늦게 내고 있다.이건... 그다지 똑똑하다고 말 할 수 없는 것 같다.
18일 가수 박효신이 회생 신청이 종료 되었다고 하네요. 무슨 일인지 의아해 하는 네티즌도 많은데... 암튼 모든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예전에 많이 듣던 박효신의 노래가 생각이 나네요... 어느새 길어진 그림자를 따라서땅거미 진 어둠속을 그대와 걷고 있네요손을 마주 잡고 그 언제까지라도함께 있는것만으로 눈물이 나는 걸요 바람이 차가워지는만큼 겨울은 가까워 오네요 조금씩 이 거리 그 위로 그대를 보내야 했던 계절이 오네요 지금 올해의 첫눈꽃을 바라보며 함께 있는 이 순간에 내 모든걸 당신께 주고 싶어 이런 가슴에 그댈 안아요약하기만 한 내가 아니에요 이렇게 그댈 사랑하는데 그저 내맘이 이럴뿐인거죠그대곁이라면 또 어떤일이라도 할 수 있을 것만 같아 그런 기분이 드네요 오늘이 지나고 또 언제까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jstl
- 맛집
- 자바
- ibatis
- 소프트웨어공학
- 자바스크립트
- 블로그
- jQuery Mobile
- JSP
- OST
- 톰캣
- jqm
- 연말정산
- 블로그 마케팅
- 겨울왕국
- Tomcat
- jQuery
- 부산
- 가사
- MySQL
- base64
- 쿼리
- MSSQL
- Let it Go
- 프로그램
- 전자정부프레임웍
- 이클립스
- Eclipse
- java
- as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