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설치가 svn에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방법이다. 먼저 이클립스에서 원하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프로젝트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Team > Share Projects를 선택한다.(이클립스에 설치한 svn 플러그인에 따라 이름이 틀려질 수도 있다. 설치한 플러그인에 맞게 선택한다.) Share Projects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신규 프로젝트이므로 Create a new repositoy location을 선택한다. URL에 file:///D:\SVN\Repository\프로젝트이름을 전부 입력한다. 그리고 다음을 선택한다. 보통 URL의 마지막에 프로젝트 이름이 두번이 나올 수 있다.(file:///D:\SVN\Repository\jforum/jf..
개발을 할 때 굳이 팀단위 프로젝트가 아니라도 혼자서 작업은 하지만 백업과 히스토리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개발을 하는 컴퓨터는 언제 포맷이 될지 모르는 아주 아주 불안한 장치며,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서버의 소스는 언제 누가 수정된 파일을 올리지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혼자서 개발을 할 때도 svn(Subversion)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백업과 히스토리 관리가 되어 편할 때가 많다. 그래서 로컬 컴퓨터에 svn를 설치해 보자. svn 서버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VISUALSVN SERVER // Subversion Server for Windows (http://www.visualsvn.com/server/) Tigris.org의 subversion (http://subversion.tigr..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자정부프레임웍
- 자바
- Eclipse
- Let it Go
- 이클립스
- 부산
- jQuery
- MySQL
- 쿼리
- jqm
- asp
- 겨울왕국
- 소프트웨어공학
- 톰캣
- 프로그램
- 가사
- 블로그
- ibatis
- OST
- Tomcat
- MSSQL
- 자바스크립트
- 블로그 마케팅
- jstl
- 연말정산
- java
- 맛집
- JSP
- base64
- jQuery Mobi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